Title | 2021.01.10 - 에스더의 금식기도 | ||||
---|---|---|---|---|---|
Author | berlin-vision | Count | 31 | Date | 2021/01/12 |
■ 금주 설교요약 본문: 에 4:13-17 제목: 에스더의 금식기도 대단한 권력을 가진 하만이 왕을 만나기 위해서 왕궁으로 들어갈 때, 모두 사람들이 무릎을 꿇고 절을 합니다. 하지만 모르드개는 절을 하지 않습니다. 분노한 하만은 모르드개 뿐만 아니라 유대인을 다 죽여야겠다고 결심합니다. 하만은 아하수에로 왕을 설득하여 12월 13일 날 모든 유대인을 다 죽이기로 한 왕의 어인이 찍힌 조서를 받아냈고, 그 조서를 온 국민에게 공포했습니다. 에스더는 동족 유대인들이 대학살을 당할 큰 위기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큰 위기 앞에서 에스더가 취한 태도와 결단을 무엇이었는가요?
모르드개는 왕후 에스더에게 이때를 위함이 아닌가 하면서 왕 앞에 나가 이야기 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에스더는 모르드개와 수산에 거하는 유대인들에게 3일 금식을 요청했고, 자신도 시녀와 더불어 금식하겠다고 말합니다. 왜요? 금식기도가 해결의 능력이며 열쇠이며 응답임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페르시아의 궁중 법도는 왕비라도 왕이 부르지 않으면 왕 앞에 나갈 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에스더는 3일 금식 기도가 끝나면 왕의 부름이 없더라도 왕에게 나아가 이스라엘의 구원을 요청하겠다고 결심합니다. “죽으면 죽으리이다”의 용기 있는 신앙입니다. 로마의 박해자들이 기독교를 이기지 못한 것은 기독교인들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안이숙 여사의 “죽으면 죽으리라”의 신앙이 우리에게 감동을 줍니다.
3일 금식을 한 에스더가 왕후의 예복을 입고 법도를 왕 앞으로 나아갑니다. 정말 목숨을 건 행동이었습니다. 그런데 다행히 왕이 금 규, 즉 금으로 만든 패를 내밀었습니다. 살려준다는 뜻이요, 왕 앞으로 오라는 표시입니다. 왕은 에스더를 보았을 때 너무 예쁘고 사랑스러워 보인 것입니다. 잔치날에 왕은 왕후 에스더에게 그대의 소원이 무엇이냐고 묻습니다. 이때 에스더는 왕에게 자신의 목숨과 유대인들의 목숨을 살려 달라고 말합니다. 왕은 누군가가 왕후를 죽이려 했다는 충격적인 사실에 격노하면서 누구냐고 묻습니다. 이 때 에스더는 하만이라고 말합니다. 왕은 하만을 즉시 처형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유대인들은 살게 되었습니다. 금식기도할 때 환란도 물러가고, 위기도 극복하고, 축복도 임하게 된 것입니다.
금식기도의 본질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이요, 신앙훈련입니다. 개인과 가정, 교회, 국가적 문제에 봉착했을 때, 하나님의 인도와 지시를 받기 위해, 매우 중대한 일을 결정하고 실천해야 하는 경우, 감당하기 어려운 일이나 위험에 직면한 경우에 금식합니다. 이러한 환경은 금식으로의 하나님의 부르심이라는 사실입니다. 가장 절실하고 급박한 문제를 택하여 하나님께 매달려야 한다. 금식할 때 물을 꼭 마셔야 합니다. 가벼운 산책을 하면 좋고 과도한 운동은 피하고, 게임, 드라마, 영화, 오락, 스포츠 등을 삼가야 합니다. 대신 성경을 읽거나 영적인 독서를 하면 좋습니다. 3일 금식 후 곧바로 밥을 먹으면 안 되고, 콩나물죽을 드시면 됩니다. 금년 한해 힘들고 어려운 문제들 앞에서 금식기도로 승리하시기를 바랍니다. |
|||||
Previous | 2021.01.03 – 금식기도의 능력 | ||||
Next | 2021.01.17 – 선악과를 따 먹은 아담과 하와 |